//
Search
Duplicate
😊

S3 버전 관리에 대한 고찰

이전 시간에 이어서 “버전 표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버킷을 선택해서 들어가게 되면 버전 기능이 활성화되었다면 아래 내용과 같이 “버전 표시" 버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전 표시 기능을 활성화하면 버킷킷내에 있는 객체(파일)에 대해서 동일한 이름으로 버전이 다른 객체(파일)들이 존재하게 됩니다.
아래에 보시면 "버전 표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고 객체(파일)명이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동일한 파일명, 사이즈도 같지만 Application에서 S3에 파일을 적재할 때 앞글에서 설명한 내용처럼 Overwrite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입니다. 가장 최신 파일은 가장 위쪽에 보이도록 자동적으로 Sorting 되어 보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객체(파일) 명은 동일하지만 버전 ID는 전부 다르게 됩니다. 하지만 "크기"를 보면 전부 동일합니다. 가장 최신 객체(파일)은 "마지막 수정" 항목에서 가장 최근 객체(파일)이 최신 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쯤 되면 내가 관리하고 있는 버킷에 "버전 표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되어 있다면 어느 정도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이는 S3에서 Storage Lens 기능에서 확인할 수 있고 Lens 기능을 활용하려면 AWS Console 로그인을 admin이 아닌 일반 계정을 생성하고 S3 Lens 권한을 부여하여 접속해야 합니다.
서울 리전에 있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최신이 아닌 버전 바이트(%)" 32.94% 만큼 동일한 객체(파일)명을 사용 중으로 확인이 됩니다.
어느 버킷에서 얼마만큼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위 N(기본값 3개)을 25개로 변경하고 지표에서 "최신이 아닌 버전 바이트" 를 선택하여 진행했습니다.
확인해 보니 "버전 기능"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객체(파일)이 존재하는 버킷 중 가장 큰 사이즈는 4.9GB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S3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부분이고 비용 증가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객체(파일)에 대한 버전 기능이 꼭 필요한지 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필요가 없다면 위에서 확인한 최신 파일을 제외한 최신 객체(파일)을 제외한 나머지 객체(파일)는 삭제하면 됩니다.
앞서 "버전 표시" 기능은 활성화가 된 이후에는 "일시 중지"만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면 "일시 중지"하는 기능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버킷 버전 관리는 "활성화" 또는 "일시 중지"만 가능하고 일시 중지를 위해서는 주의사항에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변경 사항 저장 버튼을 누르시면 적용이 됩니다.